 |
|
· 오늘 : 790 |
· 어제 : 1,643 |
· 최대 : 3,393 |
· 전체 : 2,114,982 |
|
|
|
|
중고의료기 매매 전화 상담 바랍니다. [010-5431-8888] |
작성일 : 05-09-10 11:04
동맥경화
|
|
글쓴이 :
nanom
 조회 : 3,827
|
동맥경화(Arterosclerosis)는 고혈압, 당뇨병과 함께 대표적인성인병중 하나로서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까지 되는 아주 무서운 질환이다. 수십 년 동안 서서히 진행되다가 갑자기 협심증이나 심금경색을 일으키키 때문에 '소리없는 살인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환자의 25`45%가 평소 아무 증세가 없었다는 통게도 있다.
동맹경화란 동맥벽이 두터워져서 벽의 탄력성이 소실되는 질환을 의미하는데 문자 그대로 동맥이 경화된 상태, 즉 굳어버린 것을 말한다. 이 중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벽에 대나무 마디처럼 찌꺼기가 붙어서 된 것으로, 동맥경화 환자의 상당한 수가 이것으로 말미암아 합병증이 나타난다. 대개 심장을 싸고 있는 관상 동맥이나 뇌혈관에 자주 나타나며, 혈관을 서서히 막히게 하여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혈관은 단순히 피가 지나가는 관이 아니다. 혈관의 내피세포에서는 많은 물질이 분비되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전을 잘 생기지 못하게 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등 많은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면 거의 모든 신체기관은 노화하게 되는데 혈관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관은 협착과 동맥경화(硬化)의 과정을 거치면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동맥벽의 콜라겐이 증가하거나 탄성 섬유가 변질되고 수가 감소하여 동맥벽은 딱딱해지고 두꺼워진다. 혈관이 딱딱하고 탄력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혈액이 흘러도 동맥의 내벽에는 항상 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동맥의 벽은 상처를 입으며 동맥 경화가 더욱 급속도로 진행된다.
동맥 경화가 두려운 것은 그 자체보다 고혈압, 뇌출혈, 뇌색전, 말초혈액 순환장애, 손발이 저리거나, 심장질환,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마비 등의 2차적인 질병이 올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동맥경화로 인한 2차적인 질병은 어느 혈관이 동맥경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는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심장혈관에 동맥경화가 심하면 협심증이나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하고, 머리혈관의 동맥경화가 심하면 졸중이 발생하며, 다리혈관에 심하면 자지의 혈관폐색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한편 동맥경화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히 생기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위험인자에 의해 촉진된다는 것이 밝혀지고, 또 이런 위험인자를 조절함으로써 동맥경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더욱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 고지 혈증, 흡연 및 고혈압이 가장 중요한 동맥경화증의 촉진인자들이며 그 외에 당뇨병,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도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단의 서구화도 동맥경화를 부추기는 주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동맥경화는 한번 발생하면 위험하고 치료하기도 어려우므로 무엇보다도 예방과 함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동맥경화는 어릴 때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중년기 이후에 질병을 일으키므로 어릴 때부터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를 제거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맥경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섬유질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연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만한 경우에는 체중조절이 필수적이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있으면 반드시 꾸준히 관리하여야 한다.
다음은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식이조절법이다.
1 육류는 살코기만을 사용하며 눈에 보이는 기름기는 모두 제거한다.
2 가공육(베이컨,소시지,햄 등)은 포화지방이 많으므로 삼가 한다.
3 닭, 칠면조 등은 껍질과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4 조리 때 튀김은 피하고 기름이 많은 양념은 하지 않는다.
찜, 구이, 조림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5 생선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으나, 포화지방산이 적으므로 고기류 대신 섭취한다.
6 우유는 가능하면 지방함량이 1%이하인 탈지우유를 이용한다.
7 버터나 라아드같이 포화지방산이 많은 식품은 피하고,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다. 식물성 기름 중 예외적으로 포화지방산이 많은 코코넛기름과 야자유 등은 제과(케이크, 파이), 가공식품(크랙커, 감자칩),라면, 팝콘, 커피픠림 등에 이용되므로 이들의 섭취를 삼가 한다.
8 달걀 노른자는 콜레스테롤이 많으므로 삼가 한다.
9 과일, 채소류는 섬유질, 비타민, 무기질이 많으므로 충분히 섭취한다.
10 밥,빵, 감자, 콩 등은 일반적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지나친 칼로리 섭취를 주의한다.
11 견과류(땅콩, 호두, 잣)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반면, 지방량 및 에너지가 많으므로 제한한다
12 사탕 및 초콜릿에는 단순 당질 및 지방량이 많으므로 제한한다.
▒ 유관기관링크 ▒한국의료용구협동조합식품의약품안전청한국무역협회LG카드비트컴퓨터한국프로골프협회한진택배
|
|
[나노마트]를 통하지않은 개인간 거래시 발생된(물적,법적) 사고에 대하여는 나노마트는 일체 책임이 없습니다. |
|